오늘은 VoIP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죠~^^
이론이 강해야 합니다!!
VoIP 프로토콜 정리입니다.
H.323 | SIP |
•프로토콜 스택이 무거움
•Centralized Call Control(중앙집중형)
•Distributed Call Control(분산형)
= Peer to Peer로 GK없이도 통화 가능 •ISDN 메시지의 IP 패킷화 •Call Setup 기능이 복잡 |
•어플리케이션 기반
•Centralized Call Control(중앙집중형)
•Distributed Call Control(분산형)
= Peer to Peer로 GK 없이도 통화 가능 •인터넷, 멀티미디어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H.323보다 간단 |
MGCP | MEGACO |
•Master-Slave Call Control
= Centralized Call Control(중앙집중형) •대형 Gateway 시스템에 적합 |
•Master-Slave Call Control
= Centralized Call Control(중앙집중형) •대형 Gateway 시스템에 적합
•MGCP의 멀티미디어 버전
•기간 사업자, SO가 BcN에 적용고려 |
H323이란?
H.323은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데이터를 TCP/IP와 같은 패킷 교환 방식의 네트웍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ITU-T의 표준이다. 여기에는 고품질 비디오를 위한 LAN 표준, 그리고 28.8 Kbps 정도의 느린 회선을 통해 저주파수 대역의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멀티미디어라는 하나의 컨텐츠앞에 조금씩 자리를 잃어가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현재에도 많은사업자, 많은 기업에서 H323을 이용하기에, 그 중심적인 부분에서는 아직 권위에 있다고 봐도, 틀린말은 아닐겁니다. H323이 없는 SIP, Megaco는 좀 생각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SIP란?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접속 설정 프로토콜
전화통화에 상대방을 쉽게 초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입니다.
어떤 프로토콜 스택에 메여 있지 않고 HTTP와 같은 텍스트 기반으로 정의하며 확장이 용이하고, 쉽게 사용합니다
큰 장점은 기존에 사용하는 E-MAIL주소를 사용하고, 위치 지정 메세지를 통해 이동성을 제공합니다.
OCS에서도 해당 프로토콜을 이용합니다.
SIP[십]은 매우 간단한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만들고, 수정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세션들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회의, 전화, 면회,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이 포함된다. SIP는 하위에 있는 패킷 프로토콜 (TCP, UDP, ATM, X.25)에 독립적이다.
SIP는 텍스트 기반의 SMTP와 HTTP 이후에 설계되었다. SIP는 클라이언트들이 호출을 시작하면 서버가 그 호출에 응답을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SIP는 이러한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넷 표준들에 따름으로써, 고장 수리와 네트웍 디버깅 등이 쉽다.
자세한 내용은 RFC 3261을 참고하세요.
MGC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는 H.248 또는 Megaco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멀티미디어 회의 진행 중에 필요한 신호 운용 및 세션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회선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켜 주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을 정의한다. MGCP는 다중 종단 간의 호를 설정, 관리히가니 종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Megaco와 H.248은 MGCP를 강화한 버전을 가리킨다.
이 표준은 IETF에 의해서는 Megaco (RFC 3015)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ITU-T의 통신 표준화 부문에 의해서는 H.248이라는 이름으로 추천되었다. 이전의 ITU-T 프로토콜이었던 H.323은 근거리통신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대규모 공중 네트웍용으로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MCGP와 Megaco/H.248 모델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신호 제어를 제거하고, 그 기능을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집어넣어 여러 대의 게이트웨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MGCP는 IPDC (Internet protocol device control)와 SGCP (simple gateway control protocol) 등 두 개의 다른 프로토콜로부터 만들어졌다. RFC 2705에 정의되어 있는 MGCP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마스터 역할을 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의 응용 계층에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GCP는 제어기가 각 통신 종점의 위치와 미디어 역량을 결정함으로써 모든 참가자들을 위한 서비스 레벨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MGCP의 후속 버전인 Megaco/H.248은 다중 게이트웨이는 물론, 게이트웨이 당 더 많은 포트 수와 TDM 및 ATM 통신을 지원한다.